• 中文
  • 어떠한 변화를 예상해야 하는가

    어떠한 변화를 예상해야 하는가

     
    고등학교에서 성인기로의 전환 (transition)을 준비하기

    성인기로의 전환 (transition) 서비스와 계획의 목적은, 학교라는 울타리로부터 더 넓은 성인으로서의 세상으로 옮겨가는 장애학생들을 미리 준비시키기 위함입니다. 학생이 16세가 되면, IDEA는 장애학생에게 성인기로의 전환을 준비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전이라도, 좀 더 일찍 성인기로의 전환을 계획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IEP 팀은 학생이 16세가 되기 이전부터라도 성인기 전환 준비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성인기로의 전환 (transition) 계획은 학생의 개별화 교육프로그램 (IEP)의 일부에 포함되며, 장애학생과 부모를 포함한 IEP 팀에 의해 작성됩니다.

    졸업 후 성인이 되었을 때의 목표와 필요한 서비스들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장애학생 당사자는 반드시 IEP회의에 초대되어야 합니다. 성인기로의 전환 (transition) 계획을 위해 모인 IEP 팀은, 고등학교 이후의 교육 (postsecondary education) 이나, 직업 훈련 (vocational training), 취업 (employment), 독립적인 생활기능 (independent living), 지역사회 참여 (community participation) 등, 다양한 분야들을 고려합니다. 성인기로의 전환 (transition) 서비스는 학생의 요구(needs)와 선호도, 관심에 기반을 두면서도, 결과를 낼 수 있는 형태로 일련의 활동들이 조정되어야 합니다.

    IDEA에서 요구하는 내용들:

    장애학생이 16세가 넘기 전에 IEP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부분에 대하여 IDEA §300.320(b) 는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습니다.

    (b) 성인기로의 전환 (transition) 서비스 – 학생이 16세가 되면 (또는 IEP 팀에 의해 그 이전이라도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학생의 첫번째 성인기로의 전환 (transition) 서비스에 관한 내용이 IEP에 명시되어야 하며, 해마다 새롭게 검토되어야 한다.
    IEP가 포함해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졸업 후 성인기 (postsecondary)의 목표들: 학생에게 적합하고 측정가능해야 하며, 훈련, 교육, 취업, 독립적인 생활기술 등의 영역에서 학생의 나이에 맞는 전환기 평가 (transition assessment)에 근거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2) 성인기로의 전환 (transition) 서비스: 설정된 목표들을 성취하기 위한 서비스들로 교과 과목들 (courses of study)도 포함된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