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스펙트럼 장애 이해하기
도움 받기
증거기반실제 (Evidence-Based Practices)
흔히 나타나는 건강 및 행동 문제
자폐 스펙트럼에 대한 오해와 진실
가족을 위한 추가 자료
Special Project: Autism Initiative로 돌아가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이해하기
정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뇌가 특정한 방식으로 발달하는 발달장애 중 하나로, 명확하게 알려진 원인은 없습니다. 자폐 스펙트럼에 있는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거나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힘들어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말 그대로 스펙트럼 장애이기 때문에 같은 진단을 받은 사람들도 가지고 있는 장점과 어려움이 다르며 한 가지 방식만으로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징후와 증상
자폐 스펙트럼에 있는 사람은 의사소통을 포함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을 뿐 아니라, 반복적인 행동을 보이거나 자신의 좋아하는 것에 굉장히 몰두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이런 증상들은 주로 3세 (생후 36개월) 이전에 나타나는데, 이를 빨리 인지하고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는 ‘징후를 알고, 빨리 대응하라(Learn the Signs, Act early.)’라는 이름으로 아이의 발달 정도와 나이별 발달 지표를 비교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만약 아이가 나이별 발달 지표에 맞지 않게 행동하는 경우, 아이를 담당 의사에게 상담하셔야 합니다.
관련 자료
진단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부모 설문조사와 전문가의 평가를 종합하여 진단합니다. M-CHAT-R™ 나 STAT™ 같은 방법이 초기 선별 검사에 사용되지만, 이것만으로는 확정적인 진단을 내릴 수 없습니다. 더욱 정밀한 평가를 위해서는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 2 (ADOS-2)나 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 (ADI-R) 같은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는 사회 기술, 반복적인 행동이나 기타 자폐와 관련된 여러 가지 행동을 중점으로 평가합니다. 추가로 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 (VABS-3), Differential Ability Scales (DAS-II), 또는 Mullen Scales of Early Learning (MSEL) 를 통해 인지, 운동, 언어, 일상 생활 기술 등 다른 영역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두 가지 진단 코드를 사용합니다.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ICD-10코드는 F84.0이고 대개 미국 내 정신과나 심리학자들이 사용하는 DSM-5 코드는 299.00입니다. 진단 코드를 잘 알고 있으면 보험 회사에 비용을 청구하거나 병원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받기가 수월합니다.
자녀가 자폐 진단 받은 후에 해야 할 일은?
미연방 장애인 교육법(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에 따라, 연방 정부의 교육비 지원을 받는 주 정부는 발달지연이나 발달 장애 증상을 보이는 영유아(출생부터 3세까지) 및 학생을 지원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만약 아이의 발달이 늦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조기 개입 (Early Intervention, EI)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아이가 3세 미만인 경우, 각 주의 조기 개입 프로그램에 직접 연락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고 3세 이상의 경우, 공립 초등학교에 문의하면 유치원 특수 교육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시면 각 주별 조기 개입 프로그램 연락처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Autism Spectrum Disorder(ASD). https://www.cdc.gov/ncbddd/autism/index.html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