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文
  • 영유아 조기중재 (EI: Early Intervention)

    영유아 조기중재 (EI: Early Intervention)

     

    영유아 조기중재 (Early Intervention) – 출생 후 3세까지

    영유아 조기중재 (EI: Early Intervention)를 위한 IDEA의 재정을 받는 미국의 모든 주들은, 발달 지연 (developmental delays) 이나 장애위험군 (risk conditions) 에 속하는 모든 영유아 (출생 후부터 3세까지) 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의무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환경적인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영유아들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영유아 조기중재 (Early Intervention)의 대상자가 되기 위해서는, 발달이 많이 느리거나 특별한 건강 문제 – 예를들면, 유전자 질환 (genetic disorders), 선천적 결함 (birth defects), 청력 상실 (hearing loss) – 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난독증 (dyslexia)이나 과잉행동장애 (ADHD)와 같이 학습과 관련된 문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발달지연 (developmental delay)에 대한 정의는 주마다 다르기 때문에, 뉴욕 주나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의 정보는 Early Childhood Technical Assistance Center 에서 제공하는 관련 리스트입니다.

    영유아 조기중재 (Early Intervention) 서비스 절차

    1. 초기 진단을 위한 의뢰 요청 (Referral)
    2. 초기 서비스 코디네이터 (Initial Service Coordinator)의 방문
    3. 문제가 있다고 여겨지는 영역(들)을 포함하여, 5개 분야의 발달 영역에 대한 아이의 기능을 전문적이고 통합적으로 평가 (Multidisciplinary evaluation)
    4. 개별화 가족 서비스 계획안 (IFSP: Individualized Family Service Plan) 회의에서 필요한 서비스에 대해 논의
    5. 아이가 조기중재 대상자로 판정될 경우, 영유아 조기중재 (Early Intervention) 서비스 시작
    6. 6개월마다 서비스를 재검토 /1년마다 평가
    7. 프리스쿨 특수교육 Preschool Special Education ( 3세~5세)이나 다른 유아 교육 서비스를 위한 전환 (transition)
    • 영유아 조기중재 (Early Intervention) 서비스는 아이의 3번째 생일까지 제공됩니다.

    초기 진단을 위한 의뢰 요청 (referral)은 모든 특수교육 절차에서 가장 첫번째로 이루어지는 단계입니다. 당신의 자녀가 영유아 조기중재 (Early Intervention) 대상자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진단평가는 무료로 진행됩니다. 부모로서 생각하기에, 아이의 발달이 많이 느리다는 생각이 든다면, 부모나 의사는 진단평가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영유아 조기중재 (Early Intervention) 대상자에게 주어지는 서비스들은, 대부분 물리치료 (physical therapy), 언어치료 (speech therapy), 작업치료 (occupational therapy) 이며, 아이의 집이나 데이케어, 프리스쿨과 같은 장소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개별화 가족서비스 계획안 (IFSP: Individualized Family Service Plan) 이란 무엇인가?

    만일 당신의 자녀가 영유아 조기중재 (Early Intervention)의 대상자가 된다면, 개별화 가족서비스 계획안 (IFSP: Individualized Family Service Plan) 회의에 참여하게 될 것입니다. IFSP는 아이와 가족의 요구 (needs)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계획안으로, 다양한 전문가 팀 (multidisciplinary team) 과 함께 이루어집니다. IFSP 는영유아 조기중재 (Early Intervention)의 수혜자를 ‘가족’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일년마다 계획을 평가해야 하고, 6개월 간격으로 재검토하도록 되어있습니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