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스펙트럼 장애 이해하기
도움 받기
증거기반실제 (Evidence-Based Practices)
흔히 나타나는 건강 및 행동 문제
자폐 스펙트럼에 대한 오해와 진실
가족을 위한 추가 자료
Special Project: Autism Initiative로 돌아가기
증거기반실제 (Evidence-Based Practices)
증거기반실제는 여러 차례의 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증명된 교수법을 말합니다. 연방 장애인 교육법(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과 초중등교육법(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ESEA)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증거기반실제를 사용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사용되는 증거기반실제 방법은 매우 다양하고 아이마다 맞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보호자는 전문가와 함께 아이를 잘 관찰하고 아이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행동주의적 접근 (Behavioral Approaches)
행동주의적 접근(Behavioral Approaches)은 모든 행동이 환경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전제로 아이가 특정한 자극에 어떻게 반응하고 행동하는지 관찰하여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만약 아이가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경우 테라피스트는 전략을 바꿔 아이에게 맞는 다른 방법을 찾습니다.
-
- 응용 행동 분석(Applied Behavior Analysis, ABA)은 자폐 스펙트럼에 있는 아이가 긍정적인 행동을 할 때 이에 대한 보상을 주어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이산 시험 훈련(Discrete Trial Training, DDT)이 있는데, 이는 아이가 특정 과제를 할 수 있도록 이를 반복적으로 가르쳐 준 뒤, 아이가 이를 성공하는 경우 스티커나 장난감 같은 작은 보상을 주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명확한 구조를 가진 이산 시험 훈련과는 대조적으로 아이의 반응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는 형태의 ABA도 있습니다.
- 중심축 반응 훈련(Pivotal Response Treatment, PRT)은 동기 부여, 다양한 신호에 대한 반응, 자기 관리, 사회적 상호작용 등 핵심적인 반응(Pivotal Response) 기술을 배우는 것에 집중합니다. 중심축 반응 훈련은 새로운 과제를 배울 때 아이가 좋아하는 물건이나 활동을 보상으로 주어 아이에게 동기 부여를 하는데, 과제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에도 노력에 대해서도 보상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 조기 덴버 모델(Early Start Denver Model, ESDM)은 행동 치료 중 하나로 생후 12개월에서 48개월 아이들에게 적합한 치료 방법입니다. 조기 덴버 모델의 궁극적인 목표는 아이의 의사소통 능력과 관계를 맺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으로, 놀이와 일상 활동에서 언어, 사회성 그리고 인지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아이에게 맞춤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합니다.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는 전문가뿐 아니라 부모도 함께 참여합니다.
티치 (TEACCH®)
티치(TEACCH®)는 1960년대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에서 시작되어 지금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시각 도구와 직관적인 구조를 활용해 아이가 집중력을 높이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티치는 총 네 가지 핵심 아이디어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
- 물리적 구조화(Physical organization): 가구, 칸막이, 테이프 등을 활용해 공간으로 분리하여 각 장소의 의미와 역할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돕습니다.
- 개인별 일정표(Individualized schedules):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상할 수 있도록 일과표를 만들어 볼 수 있게 해 안정감을 줍니다.
- 작업 체계 (Work/Activity systems): 어떤 활동을 얼마나 할 것인지 그리고 어떤 순서대로 할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물건들을 배치합니다. (예를 들어, 왼쪽 바구니에 있는 문제지를 풀고 오른쪽 바구니에 담는다. )
- 시각적 구조 활용(Visual structure of materials in tasks and activities): 모든 과제 수행을 시각적으로 인지 알 수 있도록 각 단계를 사진이나 이미지로 표시하여 순서대로 배열해 둡니다.
비디오 모델링 (Video Modeling)
비디오 모델링(Video Modeling)은 스펙트럼에 있는 사람에게 비디오를 통해 특정한 행동이나 업무를 보여주고 따라 하도록 가르칩니다. 비디오 모델링의 최종 목표는 비디오를 보지 않고 혼자서 해당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대표적으로 4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 기본 비디오 모델링(Basic Video Modeling): 어른, 또래 또는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과제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는 방법입니다.
- 비디오 자기 모델링(Video Self Modeling): 직접 본인이 하는 과제를 수행하는 모습을 촬영해 보여주는 방법입니다.
- 1인칭 시점 모델링(Point of View Modeling): 과제를 수행하는 사람의 시점에서 과제 수행 장면을 눈앞에서 촬영하여 보여주는 방법입니다.
- 비디오 프롬팅 (Video Prompting): 과제의 단계를 나누어 촬영한 뒤, 단계마다 비디오를 보고 실제로 이를 수행한 뒤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방법입니다
시각적 지원 (Visual Support)
시각적 지원(Visual Support)은 상징, 사진, 단어 또는 물체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자폐 스펙트럼에 있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지만, 발달 지연을 보이거나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아이들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일상 활동(아침에 일어나서 해야 하는 일, 학교를 다녀와서 해야 하는 일 등)이나 특정한 활동(손 씻기, 밥 먹기, 외출하기 등)의 단계를 이미지로 정리하여 순서대로 보여주는 시각 스케줄(Visual Schedule)이 있습니다. 이는 아이가 정보를 처리하고 언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에도 도움을 줍니다.
작업 치료 (Occupational Therapy, OT)
작업 치료(Occupational Therapy, OT)의 궁극적인 목적은 아이가 혼자서 다양한 활동할 수 있도록 도와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있습니다. 작업치료를 통해 아이는 학교생활,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배웁니다. 여기에는 감정을 다루는 부분부터 소근육 운동을 통한 균형 감각이나 자세 교정도 포함됩니다. 보통 작업 치료 계획은 전문가와 가족이 함께 논의하여 만들기 때문에 어떤 부분을 다룰지 함께 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감각에 예민하거나 감정을 조절하기 어려운 경우 이를 도와 일상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덜어줄 수 있습니다.
언어 치료 (Speech Therapy)
언어 치료(Speech Therapy)는 언어 재활사(speech-language pathologist, SLP)가 아이의 상태를 평가하여 정확한 의사소통 능력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언어 치료는 몸짓, 분위기, 표정 등 비언어적인 소통과 발음, 발성, 표현법 등 언어적인 소통 방법을 모두 다룹니다. 이를 통해 아이는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고 상대방과 원활하게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배우고 사회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Comments are closed.